기사상세페이지

<font color='blue' size='4'>'바지락' 고수온.뻘질화로 급감 </font><f…

충남도 내 바지락 생산량이 최근 5년 새 절반 가까이 급감한 것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해수 온도와 갯벌의 ‘뻘질화’가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사입력 2018.10.09 11:2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충남도 내 바지락 생산량이 최근 5년 새 절반 가까이 급감한 것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해수 온도와 갯벌의 뻘질화가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임민호)는 도내 주요 갯벌 환경 변화 기초자료 확보와 어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갯벌생태환경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서산 대산 오지리 당진 석문 교로리 태안 이원 사창리 △〃 소원 파도리 △〃 황도 보령 주교 송학리 홍성 서부 상황리 서천 장항 송림리 등 8개 지점을 대상으로 선정, 퇴적물(함수율·강열감량·입도)과 수질(수온·염분·수소이온농도·용존산소), 서식생물 종류 및 자원량 변화를 분기마다 살피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연평균 수온은 태안 황도가 201315.6에서 지난해 20.14.5, 태안 파도리가 12.5에서 16.84.3오르는 등 서천 송림리만 빼고 모두 상승을 기록했다.

    8개 지점 평균 수온은 201315.5에서 201717.31.8상승했다.

     

    해양수산부 조사에서 서해안 지역 평균 수온은 201315.51에서 지난해 16.270.76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 퇴적물 입자는 0.0625이하 크기의 실트질이 3개 지점에서 증가했다.

     

    보령 송학리의 경우 실트질이 20133.1%에서 지난해 5.8%2.7% 늘고, 서산 오지리 역시 3.1%에서 5.8%2.7%, 당진 교로리는 24.6%에서 28.1%3.5% 증가하며 뻘질화 진행을 보였다.

     

    반면 태안 파도리는 실트질 비율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마을어장 환경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모래 살포 사업이 진행된 태안 사창리와 황도, 홍성 상황 등 3곳은 실트질 감소를 보였다.

     

    이와 함께 간조 시 갯벌 수분 함유량은 뻘질화가 진행 중인 3개 지점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고, 퇴적물 내 유기물 총량인 감열감량은 최고 3.2%로 미국환경보호국의 퇴적물 내 유기물 오염 기준(5% 미만)을 넘지 않았다.

     

    5년 평균 염분은 32.29±0.82psu(실용염분단위), 수소이온농도는 8.07±0.06, 용존산소는 9.3±0.98/로 각각 측정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특히 서해 주요 양식 패류종인 바지락의 서식 밀도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8개 지점 중 바지락 양식 면허지 4곳을 조사한 결과, 태안 황도는 20131107패에서 지난해 42.9패로 64.1패 감소 서천 송림리 59.7패에서 21.3패로 38.4패 감소 홍성 상황리 62.5패에서 37.6패로 24.9패 감소 보령 송학리 88.9패에서 84.3패로 4.6패 감소 등을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도내 바지락 생산량은 20133760톤에서 20171935톤으로 무려 1825톤이 감소했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갯벌 온도 30(바지락 생존 한계치) 이상 기간 증가에 따른 대량 폐사 발생 뻘질화로 인한 대량 발생 등 기존의 연구들에서 바지락 생산량 급감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조사 대상 및 범위를 확대하고, 바지락 양식장 자원 관리에 관한 기초자료를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해수 및 갯벌 온도 상승, 주요 강·하구에 설치된 둑과 항만 시설 개발, 기후변화 등에 따른 해류 및 퇴적물 변화 등이 갯벌 환경을 바꾸고, 이는 바지락 생산량 감소를 불러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번 조사 결과를 갯벌 어장 복원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내년부터는 도내 주요 패류 생산지를 중심으로 갯발생태환경조사를 실시, 갯벌 환경 변화에 대응해 나아갈 계획이다.

    backward top home